반응형
튜플(Tuple)은 파이썬에서 순서가 있는 불변(Immutable) 자료형으로,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. 튜플은 소괄호(())를 사용하여 생성하며, 쉼표로 구분합니다.
튜플의 주요 특징
- 순서가 있다 (Ordered) 튜플은 삽입된 순서를 유지하며, 인덱스를 사용해 특정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- 불변성 (Immutable) 한 번 생성된 튜플은 변경할 수 없습니다.
- 다양한 자료형 저장 가능 튜플은 숫자, 문자열, 리스트, 다른 튜플 등 다양한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.
- 중복 허용 튜플은 중복된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.
튜플 생성과 접근 방법
튜플 생성
튜플은 소괄호(())를 사용하거나, 쉼표로 구분된 값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.
튜플 요소 접근
튜플의 요소는 인덱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,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.
슬라이싱
튜플에서 특정 범위의 요소를 추출하려면 슬라이싱을 사용합니다.
튜플의 주요 메서드
.count(value) | 튜플에서 특정 값의 개수를 반환 | numbers.count(3) → 1 |
.index(value) | 튜플에서 특정 값의 인덱스를 반환 | fruits.index("banana") → 1 |
리스트와 튜플의 비교
가변성 | 가변 자료형 (수정 가능) | 불변 자료형 (수정 불가) |
선언 방식 | 대괄호 [ ] 사용 | 소괄호 ( ) 사용 |
속도 | 느림 (데이터 수정 가능) | 빠름 (데이터 수정 불가능) |
메모리 사용 | 더 많은 메모리 사용 | 더 적은 메모리 사용 |
사용 목적 | 자주 변경되는 데이터 저장 | 변경되지 않는 고정 데이터 저장 |
튜플은 불변성이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고정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적합한 자료형입니다. 리스트와 달리 수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, 데이터 보호가 필요하거나 수정 가능성이 없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.
반응형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제어문-if문 문법 강좌 정리 노트(if-else문, elif문, 논리연산자, 중첩if문) (0) | 2025.03.16 |
---|---|
파이썬 제어문 문법 강좌 정리 노트(if문, while문, for문) (0) | 2025.03.16 |
파이썬 자료형-딕셔너리(Dictionary) 문법 강좌 정리 노트 (0) | 2025.03.15 |
파이썬 자료형-문자열 문법 강좌 정리 노트 (0) | 2025.03.15 |
파이썬 자료형 문법 강좌 정리 노트 (숫자형, 문자열, 불리언, 리스트, 듀플, 세트, 딕셔너리) (0) | 2025.03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