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은 동적 타이핑 언어로, 변수를 선언할 때 별도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고도 숫자 데이터를 다룰 수 있습니다. 파이썬에서 숫자형은 크게 정수형(int), 실수형(float), 복소수형(complex)으로 나뉩니다. 이를 이해하면 산술 연산, 계산, 자료형 변환 등 수치 데이터 처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숫자형의 종류
정수형 (int)
정수형은 소수점 없이 표현되는 숫자를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, 10, -3, 2025 등이 있으며, 파이썬은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매우 큰 정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 정수형은 기본 산술 연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,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(정수 나눗셈과 나머지 계산 포함), 거듭제곱 등이 있습니다.
실수형 (float)
실수형은 소수점을 포함하는 숫자로, 3.14, -0.001, 1.0 등이 대표적입니다. 또한, 파이썬에서는 1.5e3 또는 2.5e-2와 같은 과학적 표기법을 지원하여 큰 수나 작은 수를 간편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실수형은 부동소수점 연산 특성상 미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정밀한 계산을 요구하는 경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.
복소수형 (complex)
복소수형은 실수부와 허수부로 구성되며, 보통 a+bj 형태로 표현됩니다. 수학, 물리학, 공학 등에서 복소수 계산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. 파이썬에서는 복소수 객체의 .real과 .imag 속성을 통해 각각 실수부와 허수부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산술 연산과 자료형 변환
파이썬 숫자형은 +, -, *, /, //, %, ** 등의 산술 연산자를 사용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 두 자료형을 연산할 경우, 파이썬은 자동으로 형변환을 수행하는데, 예를 들어 정수와 실수를 더하면 결과는 항상 실수형으로 반환됩니다. 또한, 내장 함수인 int(), float(), complex()를 사용하여 다른 데이터 타입을 숫자형으로 명시적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을 이용한 인공지능 다중 선형회귀 프로그램-등산객수와 기온에 따른 산불 발생량 예측 (0) | 2025.04.08 |
---|---|
파이썬 자료형-리스트(List) 문법 강좌 정리 노트 (1) | 2025.04.08 |
파이썬에서 텐서플로 사용시 발생되는 oneDNN 관련 오류 해결방법 (tensorflow onednn custom operations error) (0) | 2025.04.08 |
파이썬을 이용한 인공지능 선형회귀 프로그램-등산객수에 따른 산불 발생량 예측 (0) | 2025.04.08 |
파이썬 함수 문법 강좌 정리 노트 (인자, 매개변수, 반환값, 람다함수, 재귀함수) (0) | 2025.04.07 |